국사교과서의 시대구분과 역사학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5 01:31
본문
Download : 국사교과서의 시대구분과 역사학습.hwp
3차 교육과정에서는 고대사회(~통일신라), 고려사회, 조선사회, 근대사회(개항~일제통치기), 현대사회(해방이후)로 구분함으로써 고대, 근대, 현대라는 시대구분을 하고 있다아 하지만 시대구분의 기준을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 고대와 근대 사이의 시기는 여전히 고려사회와 조선사회라는 왕조명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편의주의적인 시대구분이다. 고려를 중세, 조선전기를 근세로 보고 있고, 조선후기를 근대의 기점으로 서술하고 있다아
1990년판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에는 각 대단원 첫 번째 장에 ‘이행’단원을 두고 여기에서 각 시대의 성격을 밝힘으로써 시대구분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아
현행 교과서는 이행단원에서 각 시대의 성격을 서술하기에 앞서 해당 시대 동·서양의 사회 상황을 개관함으로써 우리 역사(歷史)를 세계사의 흐름과 비교할 수 있게 하였다.
4차 교육과정에서는 고대(~통일신라), 중세(고려), 근세(조선전기), 근대(조선후기~일제통치기), 현대(해방이후)로 시대구분하였다.
2. 시대구분에 나타난 역사(歷史)관
국사교과서의 시대구분은 역사(歷史)의 이해나 체계화를 위한 가설일 뿐이기 때문에 역사(歷史)를 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어떤 절대적인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교수요목기부터 2차 교육과정까지는 별다른 시대구분 없이 왕조별로 단원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입장에서 국사교과서는 한국사 발전의 전체과정을 통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준 대신, 정치, 사회, 文化 등 다원적인 기준에 의한 시대구분을 표방하고 있다아 그러나 그 기준의 범주가 일관되지 못한 채 시대마다 달리 적용하고 있다아 그 결과 전근대 시대구분의 근거로 왕조의 초기에 나타나는 몇…(drop)
순서
다.
레포트/사범교육
국사교과서의 시대구분과 역사학습
Download : 국사교과서의 시대구분과 역사학습.hwp( 40 )
국사교과서의 시대구분과 역사에 상대하여 학습하는 글 입니다.
국사교과서의 시대구분과 역사에 대해서 학습하는 글 입니다. 하지만 15세기 사회의 성격을 이전의 고려사회와 명확히 구분하는 것은 주목할만한 점이다.한사경-국사교과서의시대구분과역사학습 , 국사교과서의 시대구분과 역사학습사범교육레포트 ,


한사경-국사교과서의시대구분과역사학습
,사범교육,레포트
설명
1. 국사교과서 시대구분의 變化
2. 시대구분에 나타난 역사(歷史)관
3. 역사(歷史)학습을 위한 교과서 시대구분의 방향
1. 국사교과서 시대구분의 變化
교사교과서의 시대구분은 해방 후 진단학회의 「국사교본」에서 찾을 수 있다아 그러나 이 구분은 시대의 성격에 관한 어떤 기준을 가지고 한 것이 아니라 서구의 3시대 구분법을 왕조별로 적용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