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효(孝) 사상 - 효경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03:27
본문
Download : 공자의 효(孝) 사상 - 효경을 중심.hwp
이러한 효는 때에 따라 행하는 방법을 달리하는데 <효경>에서 공자는 효자의 다섯 가지 도리를 다음과 같이 밝혀놓고 있다아
또한 공자는 효를 만덕(萬德)의 근원이요, 백행(百行)의 원천이다. 사랑과 공경을 다하여 어버이를 받들어 섬기면, 도덕의 가르침이 백성들에게 온 천하의 모범이 되니 이를 무릇 천자의 효라 말하는 것이다. 또한 이런 효 사상이 현대에 어떻게 적용돼야 하는가에 대한 생각과 함께 효경을 중심으로 본 레포트를 전개하고자 한다.
이때 공자는 부모를 모시는데 여러 가지 단계가 있는데 이 다섯 가지 도리를 다 갖춘 연후에야 능히 부모를 잘 섬겼다고 말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효는 부모와 자녀간의 도덕규범의 기초가 되고 더욱 확대되어 가정에서 국가에 이르기까지 최우선의 가르침으로 뿌리박게 되었다는 사실에 의의를 두는데, 이에 나는 우리나라 효 사상의 근원인 유가의 효 사상, 그중에서도 공자의 효 사상을 살펴봄으로써, 효의 의미를 다시 재정립하고 나아가 의미 있게 효를 내면화해보는 기회를 갖고자 하였다.
%20%EC%82%AC%EC%83%81%20-%20%ED%9A%A8%EA%B2%BD%EC%9D%84%20%EC%A4%91%EC%8B%AC-4181_01.jpg)
%20%EC%82%AC%EC%83%81%20-%20%ED%9A%A8%EA%B2%BD%EC%9D%84%20%EC%A4%91%EC%8B%AC-4181_02_.jpg)
%20%EC%82%AC%EC%83%81%20-%20%ED%9A%A8%EA%B2%BD%EC%9D%84%20%EC%A4%91%EC%8B%AC-4181_03_.jpg)


Download : 공자의 효(孝) 사상 - 효경을 중심.hwp( 38 )
공자의 효(孝) 사상,효경,효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공자의 효(孝) 사상 - 효경을 중심으로
공자와 그의 제자 증삼의 문답 중에서 효에 관한 구절들을 추려 기록하여 만든 <효경>을 살펴보면 효의 처음 과 끝에 대하여 공자가 증자에게 이르기를 ‘신체발부 수지부모(身體髮膚 受之父母)’ 즉, 사람의 몸과 머리털과 피부는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니 감히 이것을 손상시키지 아니함이 효의 처음 이며, 여기서 더 나아가 나라에 충성하고, 후세에 이름을 날려 어버이를 드러나게 함이 효의 끝이라고 했다.
설명
효는 자녀가 부모에 대하여 경애의 감정에 토대를 두고 행하는 행위로서 이러한 행위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사회에 존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효는 부모와 자녀간의 도덕규범의 기초가 되고 더욱 확대되어 가정에서 국가에 이르기까지 최우선의 가르침으로 뿌리박게 되었다는 사실에 의의를 두는데, 이에 나는 우리나라 효 사상의 근原因 유가의 효 사상, 그중에서도 공자의 효 사상을 살펴봄으로써, 효의 의미를 다시 재정립하고 나아가 의미 있게 효를 내면화해보는 기회를 갖고자 하였다. 이 말은 즉, 부모로부터 받은 자기 몸을 소중히 하여 부모에게 걱정을 끼치지 않고 후세에 입신양명하여 부모에게 영광을 드리는 것을 효도의 완성으로 보았다고 볼 수 있다아
효는 자녀가 부모에 대하여 경애의 감정에 토대를 두고 행하는 행위로서 이러한 행위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사회에 존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는 천자가 몸소 부모를 공경하는 미덕을 실천해서 백성들에게 모범이 되면 백성들도 그 본을 받아 어버이를 모시고 임금을 잘 섬겨 나라가 부강해진다는 천자의 효를 말하고 있다아 이때 공자는 천자가 되어야 비로소 지극한 효를 행할 수 있으며, 천자의 효는 천하를 다스린다는 특수한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라고 하였다.
뿐만 아니라, 공자는 정치적 지위에 따른 신분적 차이에 의해 실천하는 효의 내용이 다를 뿐 아니라 효의 가치도 다르다고 보며, 천자(天子)·제후(諸侯)·사(士)·서(庶)와 같은 신분적 차이에 따라 효를 차별화하였는데 먼저 천자의 효를 보자면, <효경>에서 “ 어버이를 사랑하는 천자는 감히 다른 사람을 미워하지 않고, 어버이를 공경하는 천자는 감히 다른 사람을 업신 여기지 않는다. 또한 이런 효 사상이 현대에 어떻게 적용돼야 하는가에 대한 생각과 함께 효경을 중심으로 본 보고서를 전개하고자 한다.’라고 말하는데, 이는 모든 행동의 근본이 효에서 처음 된다는 것을 말하며 특히〈효경〉에서는 이전보다 더욱 효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다른 모든 덕행을 효에 종속시키는 경향을 보여준다.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