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균 정량實驗(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22:56
본문
Download : 정량실험.hwp
대장균을 듀람관이 든 시험관 속에 넣었을 때 lactose를 분해하고 가스를 발생시켰다.
설명





대장균 정량實驗(실험)
2. 초록
7. reference (Reference List)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초록 : 대장균(Escherichia coli)은 사람 및 동물의 대장에 서식하는 세균 중 하나로, 가장 먼저 발견된 장내 세균이다. 대장균을 듀람관이 든 시험관 속에 넣었을 때 lactose를 분해하고 가스를 발생시켰다. EMB 배지를 이용해 대장균군의 유무를 알아보는 정성시험을, 일반 세균수 측정(measurement)(SPC법)을 통해 대장균군의 생균 수를 산출하는 정량시험을 해 본다. 일반 세균수 측정을 하였을 때 균 수는 10^5x110 spc/ml 이었다.순서
4. material method (재료 및 방법 실험순서 함께 쓰기)
6. disscusion (고찰)
5. result (결과,사진 및 글)
초록 : 대장균(Escherichia coli)은 사람 및 동물의 대장에 서식하는 세균 중 하나로, 가장 먼저 발견된 장내 세균이다. 추가적으로 세균은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의 2종으로 나누어지는데 Gram Staining 법을 이용해 균을 분류해 본다. 이러한 特性으로 EMB배지에 도말하였을 때 보라색의 colony가 나타났고, 그람음성균으로 얇은 펩티도글리칸층을 가져서 Gram Staining을 했을 때 빨간색과 코코바실리형태를 나타내었다.
다. 일반 세균수 측정(measurement)을 하였을 때 균 수는 10^5x110 spc/ml 이었다. EMB 배지를 이용해 대장균군의 유무를 알아보는 정성시험을, 일반 세균수 측정(SPC법)을 통해 대장균군의 생균 수를 산출하는 정량시험을 해 본다. introduction(실험소개) : 정성실험과 정량실험을 통해 대장균군을 동정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EMB배지에 도말하였을 때 보라색의 colony가 나타났고, 그람음성균으로 얇은 펩티도글리칸층을 가져서 Gram Staining을 했을 때 빨간색과 코코바실리형태를 나타내었다.
Download : 정량실험.hwp( 60 )
e.coli, EMB, 대장균
1. 제목
3. introduction(실험introduce)
introduction(實驗(실험)intro ) : 정성實驗(실험)과 정량實驗(실험)을 통해 대장균군을 동정한다. 추가적으로 세균은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의 2종으로 나누어지는데 Gram Staining 법을 이용해 균을 분류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