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ns.kr [REPORT]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한 선구조 자동추출기법의 개발과 활용 > trns4 | trns.kr shopping

[REPORT]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한 선구조 자동추출기법의 개발과 활용 > trns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rns4

[REPORT]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한 선구조 자동추출기법의 개발과 활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15:43

본문




Download : i-1.hwp




특히 단층, 절리 등과 관련된 선구조는 지하수의 발생 및 유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연구되어 있다아
순서
Koo, J.H., J.H. Shin, K.W. Chi, and C.S. So, 2000, Lineament Extraction from Digital Elevation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Spatial Analysis,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216-221

Download : i-1.hwp( 14 )



다. 연구 대상지역은 경도 129:3E~129:31E, 위도 35:38N~36:7N이며, 경주지역을 포함하고 있다아 경주지역은 NNE방향으로 양산단층이 지나고 있으며, 그 외에 모량단층을 비롯한 NE-SW방향의 단층이 존재하고 있다아


설명

연구지역


본 연구에서는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하여 지형적인 특성을 반영하면서 연구자의 주관성을 최소화하는 선구조의 추출을 目標(목표)로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추출된 선구조의 실제 활용여부를 고찰해 보았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들은 연구자의 주관에 상당한 影響(영향)을 받으며, 위성사진을 이용할 경우에는 태양의 방위각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아
수치표고모델 수치지형모델 선구조 자동추출기법 / Bates, Robert L. and Julia A. Jackson, 1987, Glossary of Geology, Third Edition,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380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한 선구조 자동추출기법의 개발과 활용

list_blank.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수치표고모델 수치지형모델 선구조 자동추출기법 / Bates, Robert L. and Julia A. Jackson, 1987, Glossary of Geology, Third Edition,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380 Koo, J.H., J.H. Shin, K.W. Chi, and C.S. So, 2000, Lineament Extraction from Digital Elevation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Spatial Analysis,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216-221 Lattman, L. H. and R. R. Parizek, 1964, Relationship between Fracture Traces and the Occurrence of Ground Water in Carbonate Rocks, Journal of Hydrology, 2 : 73-91 Magowe, Magowe and James T. Carr, 1999, Relationship Between Lineaments and Ground Water Occurrence in Western Botswana, GROUND WATER, 37(2) : 282-286 Sander, Per, Timothy B. Minor, and Matthew M. Chesly, 1997, Ground-Water Exploration Based on Lineament Analysis and Reproducibility Tests, GROUND WATER, 35 : 888-894 ()
수치표고모델 수치지형모델 선구조 자동추출기법

연구지역


선구조는 지각의 구조를 반영하는 선형의 지형학적 특징이 있는 지역을 말한다(Bates and Jackson, 1987). 이 선구조는 지형도상에 표시 가능한 규모의 선형으로 나타나는 구조로서 대부분 단층, 절리, 균열 등 지표 암석권의 단열 구조와 일치한다.

레포트 > 기타
()
추출된 선구조의 활용가능성 고찰
선구조 추출기법의 개발


Lattman, L. H. and R. R. Parizek, 1964, Relationship between Fracture Traces and the Occurrence of Ground Water in Carbonate Rocks, Journal of Hydrology, 2 : 73-91

Sander, Per, Timothy B. Minor, and Matthew M. Chesly, 1997, Ground-Water Exploration Based on Lineament Analysis and Reproducibility Tests, GROUND WATER, 35 : 888-894
Magowe, Magowe and James T. Carr, 1999, Relationship Between Lineaments and Ground Water Occurrence in Western Botswana, GROUND WATER, 37(2) : 282-286
서지사항

일반적으로 선구조는 지질도나 航空사진, 위성사진 등을 바탕으로 연구자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화된 방법으로 추출되어진다.
전체 18,15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rns.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