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ns.kr 육조단경 > trns6 | trns.kr shopping

육조단경 > trns6

본문 바로가기

trns6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육조단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2 04:55

본문




Download : 육조단경_2022735.hwp






돈황본을 베껴 쓸 때 부주의하여 글자를 잘못 쓰거나 빠뜨린 것이 많으나, 다른 본들을 참조하면 성의(聖意)를 파악하는 데 별로 지장이 없다.

육조단경_2022735_hwp_01.gif 육조단경_2022735_hwp_02.gif 육조단경_2022735_hwp_03.gif 육조단경_2022735_hwp_04.gif 육조단경_2022735_hwp_05.gif 육조단경_2022735_hwp_06.gif

육조단경

,경영경제,레포트



설명



육조단경 에 관한 자료 입니다. 또한 열두 종류의 다른판(版)들을 영인 수록한 「육조단경제본집성(六祖壇經諸本集成)」도 좋은 reference(자료)이다.

1. 식심견성(識心見性)

모든 법이 모두 자신의 마음 가운데 있거늘, 어찌 자기의 마음을 따라서 진여의 본성을 단박에 나타내지 못하는가? 「보살계경」에서 `나의 본래 근원인(原因) 자성이 맑고 깨끗하다`고 하였으니, 식심견성(識心見性 …(省略)

Download : 육조단경_2022735.hwp( 26 )



순서
다.

「단경」의 근본 사상은 식심견성(識心見性 마음을 알아 성품을 봄)이요, 식심견성은 법신불(法身佛)인 내외명철(內外明徹 안팎이 사무쳐 밝음)이어서 견성(見性 성품을 봄)이 곧 성불(成佛 부처를 이룸)이므로, 깨달은 뒤[悟後]에는 부처님 행을 수행한다[修行佛行]고 분명히 하였다.

다섯 본은 돈황본(敦煌本), 대승사본(大乘寺本), 흥성사본(興聖寺本), 덕이본(德異本), 종보본(宗寶本)이다. 뒷날 교가(敎家)의 점수사상(漸修思想)이 섞여 들어와 오후점수론(悟後漸修論 깨친 뒤 점차로 닦는다는 theory )이 성행하나, 이는 「단경」에 크게 어긋나는 것이니, 육조대사의 법손인 선가(禪家)는 「단경」으로 되돌아와 육조대사 본연의 종풍을 떨치기 바란다. 이에 가장 오래된 돈황본을 중심으로 네 본을 서로 대조하고 다른 여러 본을 참고하여 「단경지침(壇經指針)」을 작성하여 보았다. 각 본의 자구(字句) 차이는 대강의 뜻만 취하고 하나하나 지적하지 않았으니 양해하기 바란다.

육조단경 에 관한 자료 입니다.

그리하여 근래 日本 의 고마자와대학(駒澤大學) 선종사연구회(禪宗史硏究會)에서는 그 중 기본이 되는 다섯 본을 서로 대조하여 「혜능연구(慧能硏究)」라는 책을 발간함으로써 단경연구에 공헌하였다.육조단경 , 육조단경경영경제레포트 ,



육조단경
레포트/경영경제



「단경」은 육조(六祖)의 법손인 동토(東土) 선종의 근본이 되는 성전(聖典)이다. 「단경」은 전래되는 과정에서 다른 본(本)이 많이 나와 학자들을 곤혹케 하였으나, 돈황고본(敦煌古本)이 발견되어 천고의 의심이 해결되었다고들 말한다.
Total 18,139건 1 페이지

검색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trns.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trns.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