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답사 견문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2 21:31
본문
Download : 안동답사 견문록.hwp
이러한 지형은 한국에서도 흔치않는 곳으로 현재의 안동시내가 바닥만 10배 넓었더라면 한국 歷史(역사)가 두 번은 바뀌었을 것이다.
첫째, 풍수지리적 길지론 이다.
산지가 많은 경북 북부지역에서 안동은 그 중심지로서의 기능을 수행 하고 있다아 옛날 낙동강 뱃길이 열려있을 때에는 안동이 종착역 역할을 하였으며, 동해안에서 잡힌 어물들이 육로를 통하여 흘러가던 유일한 통로가 영덕-진보-안동을 잇는 길이었다.
안동답사의 목적과 코스, 답사 후의 느낌과 생각들을 작성한 글입니다. 여행지도를 보고, 아래의 해설에서 밝힌 각 면단위 명소 및 명당터에 표기를 하며, 설레는 마음으로 전체 답사의 첫걸음을 내 딛을 때 무한 행복을 느낄 수 있다아
3. 안동시내에서 보며 들어온 것들
안동에 왜 양반이 많이 모였을까?
안동에 양반이 많이 모이게 하는 힘은 무엇일까? 보는이에 따라 여러가지 방향에서 分析(분석)해 가지만 필자는 다음과 같이 이유에서 기인 한다고 본다.
`넓은 풍산들을 두고 왜 안동으로 모였을까?` 이러한 의문의 답은 바로 풍수지리적 견해에서 볼 때만이 해결될 수 있는 것들이다.박물관기행문 , 안동답사 견문록감상서평레포트 ,
여행(답사)전에 면단위의 명소에 대한 문헌을 읽은후, 거기에 대한 충분한 지식 및 관심을 갖고 출발하여야 중.등학교 수학여행길이 되지 않는다.
태백산에서 내린물은 봉화, 청량산, 도산서원, 예안땅을 거쳐 임청각 앞을 지나 안동시내에 이르고, 일월산에서 내린물은 영양, 진보, 내앞마을을 거쳐 안동에 이른다. 풍수지리적 길지론과 이러한 경제적 기반이 어우러진…(투비컨티뉴드 )
레포트/감상서평
설명






,감상서평,레포트
안동답사 견문록
순서
박물관기행문
다.
Download : 안동답사 견문록.hwp( 33 )
안동답사의 목적과 코스, 답사 후의 느낌과 생각들을 작성한 글입니다. 오과등재택으로 유명한 내앞 의성김씨 종택도 입향조가 풍수지리적 길지를 물색하다가 자리잡은 곳이며, 하회마을의 류성용가는 6대가 적선을 하여 한국최고의 길지인 하회마을에 자리잡게 되었다고 하니, 안동에 양반이 자리잡은 가장 큰 요인중의 하나가 풍수지리적 길지론임은 분명하다.
둘째, 지리적 여건이다. 안동시 왼쪽에 있는 제방너머의 합수머리는 이러한 합침의 상징적 의미를 지리고 있다아 옥석산의 지세가 가운데서 멈추고, 소백산과 일월산의 줄기가 좌우를 감싼곳이 안동이다.